연산자 우선순위

 

[표5.4] 연산자 우선 순위 규칙

 

 

산술식에서의 NULL 처리

 

*산술식과 함수에서 NULL 처리

-NULL에 산술식이나 함수를 적용하면 연산 결과도 NULL

 

*사용 예

-교수 테이블에서 급여에 보직수당을 더한 값은 sal_com이라는 별명으로 출력하여라.

 

 

 

NULL 연산자를 이용한 조건 검색 예

 

 

*사용 예

-교수 테이블에서 보직수당이 없는 교수의 이름, 직급, 보직수당을 출력하여라.

 

 

NULL 연산자를 이용한 조건 검색

 

*IS NULL

-IS NULL 연산자는 칼럼 값 중에서 NULL을 포함하는 행을 검색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산자

 

*IS NOT NULL 연산자

-IS NOT NULL 연산자는 NULL이 아닌 행을 검색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연산자

 

 

 

NULL 연산자 예

 

*사용 예

-교수 테이블에서 이름, 직급, 보직수당을 출력하여라

 

 

NULL...

 

*조건상의 null

-UNKNOWN 형태의 평가는 대부분 FALSE와 동일함

-WHERE절의 평가가 UNKNOWN으로 리턴 될 경우 SELECT 절에는 아무런 ROW가 출력되지 않음

-UNKNOWN VS FALSE

。FALSE : 비교값과 같지 않음을 표시(TRUE는 비교값과 같지 않음을 표시)

。연산 조건 자체가 UNKNOWN일 경우 결과집합도 UNKNOWN으로 정의됨

 

 

 

 

<컨트롤>

 

 

WPF 의 컨트롤들은 그 동안 사용하엿던 컨트롤

 

(Winform,Webform Control)

 

들과는 약간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벤트 라우팅 이라든지 명령 처리,

 

마우스 및 키보드 입력 등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콘텐츠 요소를 포함하는 컨트롤과 XAML 속성요소의

 

문법에 대해 예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번에 만든 프로젝트의 솔류션 탐색기에서

 

WpfGridSample 이라는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측을 클릭한 후

 

[추가] -> [창] 을 선택합니다.

 

 

 

 

 

새로운 윈도우 대화상자가 나타나면 적당한 이름을

 

정하고추가 버튼을 눌러줍니다.

 

 

 

 

새로운 창이 추가 되었으면 버튼컨트롤 안에 이미지와 Text 콘텐츠를

 

가지는 버튼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XAML 뷰어에서 Window 의 width를 600으로 설정하고

 

<Grid></Grid> 사이에 다음 코드를 추가합니다.

 

 

 

 

 

 

이제 모든 작업은 끝이 나쏙 실행을 해서 결과를 확인해보겠습니다.

 

그러나 그전에 Application Class 의 "Startup Uri" 속성을 변경합니다.

 

Application Class 의 "Startup Uri" 속성은 응용프로그램의 Run과 같은

 

메소드로 SrartupUri 에 매핑된 Window 를 실행시켜줍니다.

 

 

 

 

 

자 이제 <Ctrl> + F5 키를 눌러 실행결과를 보시기 바랍니다

 

 

 

 

 

'닷넷 > Wpf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WPF 교육8  (0) 2015.09.22
WPF 교육7  (0) 2015.09.21
WPF 교육5  (0) 2015.09.18
WPF 교육4  (0) 2015.09.18
WPF 교육3  (0) 2015.09.17


​*Grid를 이용한 레이아웃 생성

​이번 강좌에는 Grid를 이용하여 간단한 

레이아웃을 만들어보자​

Grid를 이용하여 레이아웃을 만들기 위해

 

VisualStudio2008을 실행 시킨 뒤 새로운 프로젝트

 

생성하여 진행하면 된다 그 과정은

 

파일 -> 새로 만들기 -> 프로젝트를 클릭한다.

 

새 프로젝트 대화상자가 열리면 아래의 그림과   

 

같이 진행한다.




프러젝트가 생성되면 XAML 뷰어에서

 

Window 속성의 wdith 를 400으로 변경해주고   

 

<Grid></Grid>태그 사이에 다음에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입력합니다.




이제 실행 결과를 보기 위해 <Ctrl> + F5를 눌러서

실행결과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이러한 결과 값을 가지게 됩니다.

moon_and_james-2


'닷넷 > Wpf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WPF 교육7  (0) 2015.09.21
WPF 교육6  (0) 2015.09.18
WPF 교육4  (0) 2015.09.18
WPF 교육3  (0) 2015.09.17
WPF 교육2  (0) 2015.09.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