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WNUM

 

 

 

WHERE절의 ROWNUM은 '<', '<=' 조건을 주로 사용하며, '=' 조건은 WHERE ROWNUM=1인 경우만 예외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WHERE ROWNUM<10 : (O) 9행만 추출,

WHERE ROWNUM=1 : (O) 1행만 추출,

WHERE ROWNUM =2 : (X)no rows selected(공집합)

→주의! 에러 메시지 없이 한건도 추출되지 않음

 

*SQL 실행 순서를 참조하시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ROWNUM은 SELECT 절에서 정해지는데, 먼저 실행되는 WHERE절에서 ROWNUM을 조건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예외적으로 첫번째 데이터는 데이터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특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ROWNUM은 몇 건을 지정하는 목적이지 몇 번째 건을 지정하는 용도가 아닙니다.

 

 

 

'오라클 > Oracle,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라클공부 148. ROWNUM  (0) 2015.09.10
오라클공부 147. ROWNUM  (0) 2015.09.10
오라클공부 145. ROWNUM  (0) 2015.09.10
오라클공부 144. ROWNUM  (0) 2015.09.10
오라클공부 143. ROWID 데이터 타입  (0) 2015.09.10

ROWNUM

 

 

'오라클 > Oracle,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라클공부 147. ROWNUM  (0) 2015.09.10
오라클공부 146. ROWNUM  (0) 2015.09.10
오라클공부 144. ROWNUM  (0) 2015.09.10
오라클공부 143. ROWID 데이터 타입  (0) 2015.09.10
오라클공부 142. [참조] Pseudo-column  (0) 2015.09.09

ROWNUM

 

 

 

 

ROWID 데이터 타입

 

*사용 예

-학생 테이블에서 모든 ROWID와 학번을 출력하여라

 

 

 

자바기초강좌 교육자료] 헤쉬테이블(HashTable) 사용 예(2)

자바기초강좌 교육자료] 헤쉬테이블(HashTable) 사용 예(2)


헤쉬테이블(HashTable) 사용 예(2)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StudentHashtableTest {


  publicstatic void main(String[] args) {


  Hashtable table=new Hashtable();

  table.put("1",newStudent("Jee",1,"Seoul"));//0

  table.clear();//모두 제거

  table.put("2",newStudent("Gong",2,"Seoul"));//

  table.put("3",newStudent("Song",3,"Seoul"));//2

  table.put("4",newStudent("Lee",4,"Koyang"));//3

  table.put("4",newStudent("Lee",4,"Koyang"));//3과 중복x

  System.out.println(table.size());

  System.out.println(table.containsKey("4"));

  table.remove("3");

  Studentstu=(Student)table.get("2");//key

  System.out.println(stu.getId()+"  "+stu.getName()+"  "+stu.getAddr());


   //모든 elements 출력하기

  //Set set=table.keySet();//Map을 참고

  Enumeration enums=table.keys()

  while(enums.hasMoreElements()){


  Stringkey=(String)enums.nextElement() ;//핵심

  Student stus=(Student)table.get(key);

  System.out.println(stus.getId()+"  "+stus.getName()+"  "+stus.getAddr());

  }

  }

}


 

예제) 비트 연산자 사용

 

 

 

 

using System;

public class Bitop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 = 10;

     int j = 20;

  int a;

 

  a = i & j; i = i >>3; j = i<<3;

  Console.WriteLine("a={0}, i={1}, j={2}", a,i,j);

  Console.ReadLine();

  }

}  // 실행 결과는?

 

 

 

 

논리 연산자와 비트 연산자(2)

 

 

 

 

 

Ø A&&B의 경우, 만약 Afalse이면 더 이상 B를 계산하지 않고 계산 결과값이 false로 결정된다. Atrue일때만 B를 계산한다.

 

Ø A||B의 경우, 만약 Atrue이면 더 이상 B를 계산하지 않고 계산 결과값을 true로 결정한다. Afalse인 경우에만 B를 계산한다.

 

Ø A|BA&B의 경우, A가 값에 관계없이 계속해서 B를 계산해서 AB로 연산을 수행한 후에 계산 결과값 true를 결정한다.

 

 

 

 

논리 연산자와 비트 연산자(1)

 

 

 

 

Ø C#에서는 bool 타입만이 논리연산자를 사용할 수가 있다. C에서는 0이나 -1false라고 묵시적으로 생각하였으나, C#에서는 반드시 true, false로 명시하고 있다.

 

Ø int형은 bit 연산자만을 사용할 수 있다.

 

Ø bit연산이란 정수를 2진수로 나타낸 후 각 자리의 bit들을 각각 연산하는 것이다.

 

Ø bool 타입은 논리 연산 대신 &, |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