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 명령어

 

*CLEAR 명령어

 

SQL>I

1 select*

2 from student

3* where studno > 20000

 

SQL>cl buff

buffer 소거되었습니다.

 

SQL>I

SP2-0223:SQL 버퍼에 줄이 없습니다

 

 

CHANGE 명령어

 

*사용예

SQL>I

1 select name, studno

2 from student

3* where studno>20000 and name like '%동%'

 

SQL>1

1* select name, studno

 

SQL>c/name, studno/*

1 select*

SQL>I

1 select*

2 from student

3* where studno>20000 and name like '%동%'

 

SQL> c/and name like '%동%'

3* where studno>20000

 

SQL>I

1 select*

2 from student

3* where studno>20000

 

 

 

 

CHANGE 명령어

 

*CHANGE 명령어

-현재 활성화된 라인에서 특정 텍스트를 다른 텍스트로 변경하기위해 사용하는 명령

 

*사용법

C[HANGE]  /old /new 

 

-old : 변경하기 전의 텍스트

-new : 변경할 텍스트

 

 

APPEND 명령어

 

*A[PPEND] text

-Text를 현재 행의 끝에 추가합니다.

 

 

INPUT 명령어

 

*사용법

 

SQL>I

   1*from student

SQL>0 select name, studno

SQL>I

   1 select name, studno

   2* from student

SQL>del

SQL>I

   1* select name, studno

SQL>I

   1 select name, studno

   2 from student

   3* where studno > 20000

SQL>del 2

SQL>I

   1 select naem, studno

   2* where studno > 20000

SQL>I 1

   1* select naem, studno

SQL>i from student

SQL>I

   1 select name, studno

   2 from student

   3* where studno > 20000

 

 

 

 

기본 연산자

 

 

 

 

연산자

이름

의미

(x)

괄호

연산의 우선순위 명시

x.y

클래스의 메소드나 속성

f()

메소드괄호

메소드의 인자를 괄호안에 넣는다

a[x]

대괄호

배열이나 인덱서의 인덱스

checked

 

형변환시 오버플로우를 체크

unchecked

 

형변환시 오버플로우 체크 않음

typeof()

 

객체에 대한 정보를 얻음(리플렉션참고)

sizeof()

 

객체의 크기를 얻음

 

 

 

 

 

C#의 연산자 목록

 

 

 

 

 

 구분

 연산자

기본 연산자 

(x), ., f(x), a[x], x++, x--,

new, typeof, sizeof, checked, unchecked 

단항 연산자 

+, -, !, ~, ++x, --x 

산술 연산자 

+, -, *, /, % 

쉬프트 연산자 

<<, >> 

비교 연산자

<, >, <=, >=, is 

비트 연산자 

&, ^, | 

논리 연산자 

&&, || 

조건 연산자 

?: 

할당 연산자 

=, *=, /=, %=, +=, -=, <<=, >>=, &=, ^=, |= 

 

 

 

 

 

상수

 

 

 

 

Ø항상 고정된 데이터형식과 값을 가지는 것
l) 원주율 PI 는 프로그램을 통틀어 고정된다.

 

Ø변수선언과 거의 동일하고, 앞에 const를 붙여주는 것만으로 상수가 된다. 상수는 선언시 값을 지정해 주어야 한다.
l) const double PI=3.14159;

 

Ø선언 시 할당하지 않으면 에러발생

 

Ø선언 후 다른 값을 할당해도 에러 발생

 

Ø상수는 주로 대문자를 사용한다. 그리고 변수명과 같은 이름을 사용할 수 없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