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함수 MONTHS_BETWEEN, ADD_MONTHS 예

 

*사용 예

-입사한지 120개월 미만인 교수의 교수번호, 입사일, 입사일로부터 현재일까지의 개월 수, 입사일에서 6개월 후의 날짜를 출력하여라.

 

 

날짜 함수 MONTHS_BETWEEN, ADD_MONTHS

 

*MONTHS_BETWEEN, ADD_MONTHS

-MONTHS_BETWEEN과 ADD_MONTHS 함수는 월 단위로 날짜 연산을 하는 함수

 

*사용법

MONTHS_BETWEEN (date1, date2)

ADD_MONTHS (date, 개월 수)

 

-MONTHS_BETWEEN : date1과 date2 사이의 개월 수를 계산

-ADD_MONTHS : date에 개월 수를 더한 날짜 계산

 

 

날짜 함수 SYSDATE 함수

 

*SYSDATE 함수

-SYSDATE 함수는 시스템에 저장된 현재 날짜를 반환하는 함수로서, 초 단위까지 반환

 

*사용 예

-시스템의 현재 날짜를 출력하여라.

 

날짜 함수의 종류

 

[표6.6] 날짜 함수의 종류

 

날짜 함수 날짜 계산 예

 

*사용 예

-교수 번호가 9908인 교수의 입사일을 기준으로 입사 30일 후와 60일 후의 날짜를 출력하여라.

 

 

날짜 함수

 

*날짜함수는 날짜 데이터 타입에 사용하는 함수

 

*날짜 계산

-날짜 계산은 날짜 데이터에 더하기, 빼기의 연산을 하는 기능

 

[표6.5] 날짜 타입의 연산

 

 

 

<문서(Document)>

 

 

문서는 WPF에서 제공되는 기능중 하나로 텍스트

 

 

위주의 콘텐츠타입의 광범위한 문서 기능을

 

통해 기존 Windows에 비해 보다 쉽게 액세스하고,

 

읽을 수 있도록 디자인된 고품질 콘텐츠를 작성할수있

 

습니다. 향상된 기능 및 품질과 더불어 WPF에서는

 

문서 표시, 패키지 및 보안에 대한 통합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그럼 문서 샘플을 만들어 보도록합시다.

 

위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Document"라는

 

Window를 추가하겠습니다.

 

 

문서를 작성하는데 있어서 두가지의 문서 컨트롤이

 

있는데 하나는 고정 문서 컨트롤(DocumnetViewer)와

 

유동 문서 컨트롤이 있습니다.

 

각각은 사용함에 있어 약간의 차이점이 있는데

 

문서 콘텐츠의 특성에 따라 사용이 달라집니다.

 

고정 문서 콘텐츠는 DocumnetViewer 컨트롤을 사용

 

하며 FixedDocument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디자인 되어있습니다.

 

유동 문서 콘텐츠는 세 가지 컨트롤인

 

FlowDocumentReader , FlowDocumentpageViewer

 

및 FlowDocumentScrollViewer 를 사용하여

 

표시되어 집니다.

 

FlowDocumentScrollViewer 컨트롤을 사용하여

 

예제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새로 추가한 "Document.xaml" 에

 

아래 코드를 작성하겠습니다.

 

 

 

 

그럼 App.xaml을 수정한 후에 실행을 합니다.

 

 

 

 

위 코드에서 사용한 FlowDocumentScrollViewer

 

는 콘텐츠를 연속 스크롤 모드에서 유동 콘텐트를

 

볼 수 있는 컨트롤을 제공합니다.

 

 

 

 

 

#WPF/#WPF강좌/#WPF자료/#WPF강의/#WPF강의자료

#오라클자바교육센터/#오라클/#자바/#JAVA#ORACLE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닷넷 > Wpf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WPF 강좌예제 레이아웃 - DockPanel  (0) 2015.10.07
WPF 강좌자료4 (레이아웃 - Canvas)  (0) 2015.10.05
WPF 강좌자료2  (0) 2015.10.01
WPF 강좌자료  (0) 2015.10.01
WPF 교육11  (0) 2015.09.24

Polymorphism

 

 

 

 

Ø다형성
l클래스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l고속버스가 자동차로 부터 상속을 받았을 때, 둘 다 Run() 이라는 메소드를 가지고 있다고 해도 Run()의 의미는 다를 수 밖에 없다. 또한 고속버스로 부터 상속받은 우등고속버스 역시 Run()의 의미가 달라진다. 이것을 오버라이딩에 의한 다형성이라고 말한다.
l또한 고속도로를 달리는 Run(고속도로 a)와 일반 국도를 달리는 Run(일반국도 b)는 서로 다른 의미가 된다. 이것을 오버로딩에 의한 다형성이라고 말한다.

 

 

 

 

 

 

+ Recent posts